본문 바로가기
컴퓨터네트워크(실기)

[네트워크 명령어] route

by pjmteacher 2022. 11. 8.

6. route


1)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 관리

2) route 명령어 사용방법

 

[윈도우]

route [-f] [-p] [-4|-6] command [destination] [Mask netmask] [gateway] [METRIC metric] [IF interface]

 *[]안에 있는것은 선택사항

 

-f : 모든 게이트웨이 항목의 라우팅 테이블을 지운다.

-p : ADD 명령어와 함께 다시 부팅해도 경로가 보존되도록한다.

-4 : IPv4

-6 : IPv6

[command(명령어)]

PRINT     : 경로를 인쇄

ADD       : 경로를 추가

DELETE   : 경로를 삭제

CHANGE : 기존 경로를 쉉

destination : 호스트를 지정(목적지)

MASK    : 다음 매캐 변수가 netmask 값임을 지정

netmask : 서브넷 마스크 값을 지정 (기본값 : 255.255.255.255)

gateway : 게이트웨이를 지정

interface : 지정한 경로에 대한 인터페이스 번호

METRIC  : 대상의 비용과 같은 메트릭을 지정

 

 route 명령어 사용 예


라우팅 테이블은 *패킷을 목적으로 보낼 때 어디로 보내야 할지를 지시하는 방향지시등 역할을 한다.
패킷 :  데이터를 자른 단위(전송 단위)입니다!

 


 

[리눅스]

route [옵셔] add [-net|-host] target [netmask] [gw] [metric] [dev]

route [옵션] del [-net|-host] target [netmask] [gw] [metric] [dev]

 *[]안에 있는것은 선택사항

del  : 경로 삭제

add : 경로 추가

target : 목적지 네트워크 또는 호스트

-net  : target이 네트워크일때

-host : target이 호스트일때

netmask NM : 네트워크 경로 추가할 때 사용할 넷마스크

gw GW

metric M

dev

route 명령어 입력 시


Destination : 목적지(종착지)
Gateway : 게이트웨이
Genmask : 넷 마스크
Flags : 형식
   1. U(빨간색) : 인터페이스(장치)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
   2. UG(빨간색) :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
Metric : 다음 라우터와의 거리
Ref : 라우터에 대한 참조 횟수
Use : 라우터에 대한 찾아본 횟수
Iface : Interface(장 치명)

 route 명령어 사용 예

* dev = device
** 예시 IP : 192.168.1.121

1. 호스트 방식식으로 경로 추가
> route add -host 192.168.1.121 netmask 255.255.255.0 dev 장치명(인터페이스명)

2. 네트워크 영역(대역)으로 경로 추가
> route add -net 192.168.1.0 netmask 255.255.255.0 dev 장치명(인터페이스명)

3. 디폴트 게이트웨이 추가
> route add default gw 192.168.1.254 dev 장치명(인터페이스명)

 

4. 디폴트 게이트웨이 삭제

> route del default gw 192.168.1.254 dev 장치명(인터페이스명)

'컴퓨터네트워크(실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네트워크 명령어] ipconfig  (0) 2022.11.08
[네트워크 명령어] arp  (0) 2022.11.08
[네트워크 명령어] dig  (0) 2022.11.08
[네트워크 명령어] nslookup  (1) 2022.11.08
[네트워크 명령어] netstat  (1) 2022.11.08